본문 바로가기

390원으로 자동차등록증 온라인 재발급 받는 방법

꿀팁이과장 2025. 3. 26.

최근 차량 정기검사를 받기 위해 자동차 등록증을 찾다가, 어디에 두었는지 도무지 기억이 나지 않아 결국 재발급을 받게되었습니다. 자동차 등록증은 평소에는 자주 사용할 일이 없지만, 차량 검사, 보험 업무, 매매 등 특정 상황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서류입니다.재발급은 가까운 구청,주민센터나 차량등록사업소를 통해 오프라인으로도 가능하지만, 집이나 사무실에 프린터만 있다면 온라인으로 훨씬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단돈 390원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등록증 온라인 재발급 방법을 중심으로, 절차부터 유의사항까지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자동차등록증-재발급-390원

자동차등록증 재발급이 필요한 상황

자동차등록증은 차량 등록 시 발급되는 공식 문서로, 차량의 소유주, 등록번호, 차량 제원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처음 차량구입 시 발급을 받아서 차량 콘솔박스에 넣어 놓거나 집안 어느 곳에 놓고는 잊어버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재발급이 필요합니다:

  • 자동차 정기 검사 시 제출 필요
  • 분실, 도난 또는 심하게 훼손된 경우
  • 소유권 이전 등으로 기존 등록증이 무효가 된 경우
  • 등록사항 변경 후 새로 발급이 필요한 경우

차량 검사 및 매매 등에서 반드시 필요한 문서이므로 분실시에는 재발급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등록증 재발급 방법 

온라인을 통해 재발급 받는 방법으로는 크게 정부 24와 자동차365 민원포탈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둘의 차이점이 있으니 아래 상세 내용을 확인하시어 본인의 상황에 맞추어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정부24를 통한 재발급 

먼저 집에 프린터가 없으시거나 등기우편 또는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서 수령가능하신 분들은 정부 24를 통해 신청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아래와 같이 재발급 신청 메뉴에서 신청하기를 선택합니다. 수수료는 700원입니다. 

정부24-자동차등록증-재발급
정부24

약관동의 후 로그인 방식을 선택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정부24-자동차등록증-재발급-로그인
정부24

로그인을 하면 차량번호 및 주소 등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오고 입력을 완료하면 아래와 같이 주민센터등 에서 방문수령을 할지, 보통우편 또는 등기로 받아볼지 선택을 하게 됩니다.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어 진행하시면 됩니다. 

정부24

 

아쉽게도 정부24에서는 직접 출력이 어려우니 집에서 출력이 가능하신 분들은 아래 자동차365 민원포탈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365 민원포털을 통한 재발급

자동차365에 접속하시면 아래와 같이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로 이동을 하셔야 합니다. 

자동차365

아래와 같이 등록증 재발급 메뉴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자동차민원-대국민포털
자동차민원 대국민 포털

이용약관에 전체 동의하시고 성명,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시고 확인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자동차민원-대국민포털-자동차등록증-재발급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탈

여기서 주의하실 점이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탈을 이용하시기 위해서는 바로 공동인증서가 있어야만 로그인이 가능하다는 사실입니다. 요즘에는 간편인증을 많이 사용하고 은행앱도 굳이 공동인증서 사용이 필요없어서 여기서 잠시 당황을 했습니만.. 다시 주거래 은행 사이트에 방문해서 급하게 공동인증서를 발급 받아서 진행할 수가 있었습니다. 

자동차민원-대국민포털-공동인증서로그인
공동인증서 로그인

로그인 후 자동차 정보, 소유자 정보 확인 후 분실 사유를 입력하시고 신청을 누르시면 됩니다. 

자동차정보-소유자정보확인
정보확인

신청인 정보 및 민원내역등의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본인의 프린터가 인쇄가 가능한지 반드시 테스트 인쇄를 해보시고 비용을 납부하여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신용카드 기준 390원입니다!!

자동차민원 대국민 포탈의 이용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용시간>
- 매일 07:00 ~ 22:00 (※ 매월 말일 07:00 ~ 18:00)

 

이상으로 정부24,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을 통해 자동차 등록증을 발급 받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가장 빠르고 저렴한 방법은 공동인증서를 준비해서 자동차민원포털을 통해 390원으로 발급 받는 방법을 적극 추천 드립니다. 

댓글